Git과 GitHub에 대한 이해
- git : 버전관리 시스템
- gitHub : 온라인 repository, 원격 저장소
- 원격 저장소를 사용하는 이유 : 백업과 협업
로컬저장소를 원격저장소에 백업
git init // repository 생성 명령어
git branch -M main // gitHub에서는 기본 브랜치 이름을 main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하는데, 진위여부는 확인 필요
git push // 현재 작업 폴더에 있는 로컬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에 푸쉬
git push -u https://github.com/taehyunahn/lesson.git main
// 예시) git push -u '저장소주소' '기본브랜치 이름'
// -u를 쓰는 이유? -u라는 옵션은 기억하라는 뜻. 한번 작성하면, 이후에는 git push 명령어만으로도 동일한 주소에 push됨
Git에서 변수 문법 사용하는 방법
-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? 복잡한 주소명을 변수에 담아서 간편히 재사용한다.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taehyunahn/lesson.git main
// git remote add '변수명' '주소명'
// 주소를 origin이라는 변수에 저장한다. 관습적으로 origin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.
// 이후에는 push -u origin main 이렇게만해도 동일하게 동작

'개발공부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좋은 git commit 메시지를 작성하는 방법 (1) | 2024.12.27 |
---|---|
공부일지 | #3. Git 사용법 숙지 후 GitHub 업로드 완료 (0) | 2022.10.28 |
[Git] 주요 명령어(2) git branch 생성, 변경, 병합 (0) | 2022.10.25 |
[Git] 주요 명령어(1) git status, add, commit -m '내용', log (0) | 2022.10.24 |
[Git] 설치 / 폴더 지정 / git init (윈도우OS 기준) (0) | 2022.10.24 |